선거보도_
[신문 양적분석 최종]‘코로나’에 갇힌 선거 보도, ‘이전투구’ 정치판 ‘갈등’만 키웠다
등록 2020.07.09 14:10
조회 198

2020총선미디어감시연대 서울 지부는 △신문지면 △방송사 저녁종합뉴스 △종합편성채널 시사토크쇼 △정치시사 관련 유튜브 채널 △통신사 △인터넷 언론 등을 대상으로 선거 보도 모니터링을 진행했다. 아래는 6개 종합일간지 선거 보도의 양적분석 최종보고서이다. 2월 17일(D-58)부터 4월 14일(D-1)까지 신문의 선거 보도 경향을 정리했다.

분석기간

2월 17일(월)부터 4월 14일(토)

분석대상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신문 지면에 한함)/별지 및 섹션면은 제외

분석기사

선거를 1번이라도 언급한 기사이거나 후보, 지지율, 지지층, 유세 등의 단어를 언급하여 선거와 연관됐다고 볼 수 있는 기사

△ <표1> 6개 종합일간지 4・15총선 관련 보도 양적분석 개요(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Ⅰ. 종합평가

21대 총선은 ‘코로나 선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애초에 코로나19 이슈가 선거 이슈보다 주목도가 높았으며 선거 쟁점에서도 코로나19 정부 대응이 큰 지분을 차지했다. 선거 국면에서 코로나19를 중심으로 진영 대결 양상이 펼쳐졌고 급기야 ‘차이나게이트’와 같은 허위조작정보도 터져나왔다. 언론마저 이를 따라가는 경향을 보이며 선거 보도로서의 기능을 다 하지 못했다.

 

선거보도 비중이 평균 17.0%에 머물렀다

2월 17일부터 4월 14일까지 6개 종합일간지의 보도 23,562건 가운데 21대 국회의원 선거 관련 보도수는 4,000건으로 총 보도수 대비 선거보도 비중이 17.0%를 차지했다. 사전선거운동기간(2/17-4/1)에 2,612건(65.3%), 선거운동기간(4/2~4/13)에 1,388건(34.7%)의 선거보도가 있었다. 투표가 임박할수록 오히려 선거 보도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시기별 선거보도 비중을 보면 4월 1째 주 21.5%, 선거 일주일 전 28.4%로 투표가 임박해 가까스로 20%선을 회복할 정도로 선거는 그리 중요한 이슈가 아니었다. 선거보도 비중이 가장 높은 신문사는 중앙일보로 24.3%였고, 조선일보가 19.7%로 뒤를 이었다. 선거보도 비중이 가장 낮은 언론사는 경향신문으로 14.1%를 나타냈다.

 

비례 정당·공천 논란이 ‘정책 보도’ 압도했다

선거마다 정책 실종 선거라는 지적이 많은데, 여기에는 정책·공약을 의제화하지 않은 언론의 책임도 크다. 이번 총선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정책·공약 보도는 보도량 자체도 적었지만 그나마 나온 보도들 역시 정책·공약을 나열하는 수준에 그쳤다. 정책·공약을 보도할 때 중요한 점은 후보자·정당 간 구체적인 비교평가와 꾸준한 보도, 유권자의 반응과 유권자의 요구를 직접적으로 듣는 것에 있다. 정책 보도는 정책의 타당성과 재원 마련 대책까지 깊이 있게 따져서 헛공약인지 아닌지를 유권자들이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쏟아내기보다는 꾸준한 보도로 유권자의 관심을 지속시키고 정확한 내용 전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유권자들이 지역에서 희망하는 숙원 사업, 후보자별 정책·공약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듣고 기사화하는 일도 필요하다.

이번 총선에서 ‘정책·공약’을 주제로 다룬 보도는 530건으로 13.3%에 그쳤다. 유권자의 목소리를 직접 기사에 반영하는 ‘시민질의논평’ 보도는 402건으로 10.1%였고, ‘시민사회여론운동’을 전한 보도가 132건으로 3.3%를 차지했다. 모두 턱없이 부족한 비중이다.

정책·공약 보도나 유권자 목소리를 담은 보도가 모두 10%대 비중에 그친 반면, ‘선거 전략’과 ‘공천’이 선거 보도 상당수를 차지했다. ‘선거전략’을 다룬 보도는 1,448건(36.2%)으로 보도 주제별 통계에서 가장 비중이 컸고, ‘공천’ 관련 보도가 645건(16.1%)으로 뒤를 이었다. 공천 관련 보도가 가장 두드러진 신문은 조선일보로 148건이었고 동아일보가 131건, 경향신문이 121건 순으로 많았다. 공정한 후보 선발과 심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과정에 주목하기 보다는 공천 결과 이후의 논란을 두고 공천 파동, 선정 잡음을 부각해 부실 공천이라는 프레임을 반복해서 강조한 보도가 많았다. 특히 친문, 비문이라거나 김형오계, 유승민계, 안철수계, TK계, 친박계, 친황계와 같이 진영 논리를 들어 정치판의 혼탁함과 판세를 부각했다.

 

과장된 표현·비난의 수사…정부의 무책임 내세운 ‘보수 언론’

이번 총선 선거 보도에서 과장된 표현, 비난의 수사가 넘쳐났다는 점도 문제가 심각했다. 정치인의 막말을 그대로 인용하더라도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혐오의 확산을 막아야 하지만 언론은 오히려 ‘막말’을 확대재생산하거나 비판을 빌미로 더 과한 표현을 썼다.

중앙일보 <김진국의 퍼스펙티브/4·15 총선 무엇이 문제인가>(3/19)는 ‘위장 이혼’(탈당), 가짜 주소지(정당)로 ‘위장 전입’(입당)하기 위해 ‘셀프제명’이란 꼼수까지 써서 의원 꿔주기, 공천 뒤집기, 의석 나눠먹기 한다고 비판했다. 거대 양당의 비례정당 모두 ‘야바위판’을 만들고 있다고 썼다.

‘도박판 정치’, ‘코미디 정치’, ‘밥그릇 싸움’과 같이 실망스럽다는 의견을 과도하게 써서 독자의 비판적 인식보다 냉소 또는 부정적인 인상을 키울 울려가 있는 표현이 등장하기도 했다. 후보자가 ‘쓰레기 의원이 정권 흔든다’는 표현을 그대로 제목으로 달았고(조선일보 <검찰·언론·쓰레기 의원이 정권 흔들어…국회 가면 文 호위무사 되겠다>(3/23)). 중앙일보의 경우 “여당이 총선에서 이기면 코로나20, 코로나21 재앙이 다시 닥쳐도 중국발 입국자는 여전히 대한민국 도심을 활보할 것이다. 몰려든 중국인 환자를 한국인이 병수발할 것이다”라며 특정해서 혐오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표현을 썼다.

‘코로나 추경’을 두고 “포퓰리즘 선거”라고 비난하는 여·야의 입장이 크게 갈렸다. 조선일보는 ‘총선용 돈풀기’, 중앙일보는 ‘세금 파티’라고 칼럼에 썼다. 조선일보 <나라빚 눈사태에 깔릴 2030세대가 포퓰리즘에 “NO” 해야 한다>(4/9)는 “코로나 지원금과 총선용 선심 비용을 더하면 국가 부채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다”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조선일보 <文, 연일 코로나 행보… 與 총선 승리가 곧 코로나 승리>(4/8)에는 “청와대와 정부·여당이 오로지 ‘코로나’만 강조하면서 경제·안보 등 다른 현안은 의도적으로 외면하고 있다”는 야권 의견을 강조했다. 조선일보는 <선거 의식 졸속 ‘100만원’ 발표, 野까지 경쟁 가세>(3/31), <재난 지원이라더니 하위 70% 혼란 거쳐 전 국민 갈라먹기로>(4/7), <선거가 나라 기울게 만들 수 있다>(4/8), <작년 정부 적자 사상 최악 기록, 눈사태가 시작됐다>(4/8), <총선 며칠 전 450만 명에게 1조 살포, 고무신 선거와 뭐 다른가>(4/10) 등에서 세수에 구멍난다, 재정 부실화는 큰 위기, 재정 적자에 국가 신용도 강등을 언급하며 비판했다. 코로나19의 불확실성을 이용해 과장된 표현, 비난의 수사, 정부의 무책임을 부각하는 수사가 남발됐음을 알 수 있다.

 

거대양당 중심 보도 … 정치신인, 군소정당 어디에?

정당이 균형 있게 언급되었는지 정당별 등장빈도를 비교한 결과 정당을 언급한 3061건(76.5%)의 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언급은 2251건(73.5%)을 차지하고, 미래통합당은 2079건(67.9%)를 차지했다. 10건 중 7건은 거대 양당을 언급한 보도였다는 의미이다.

총 46개의 정당명을 중심으로 빈도수를 비교했다. 정의당 637건(20.8%), 국민의당 330건(10.8%), 민생당이 317건(10.4%)으로 집계 됐다. 그리고 자유한국당이 198건(6.5%), 바른미래당이 145건(4.7%), 녹색당이 117건(3.8%), 민중당이 84건(2.7%), 우리공화당이 68건(2.2%) 순이다.

비례정당의 언급이 정의당 다음으로 많이 등장했다. 미래한국당은 533건(17.4%), 더불어시민당은 440건(14.4%)를 나타냈다. 열린민주당 296건(9.7%), 비례민주당(비례연합정당) 202건(6.6%)은 자유한국당 보다 언급이 많았다.

자유통일·기독자유·자유공화·기독자유통일당이 61건(2.0%), 기본소득당(58건, 1.9%), 대안신당과 미래당이 각 56건(1.8%), 민주평화당 53건(1.7%), 친박신당과 시대전환이 각 44건(1.4%), 가자환경당(39건, 1.3%), 가자평화인권당(35건, 1.1%), 국가혁명배당금당(32건, 1.0%), 한국경제당(22건, 0.7%), 여성의당 17건(1.5%) 등이 등장했다. 여성의당은 경향신문, 중앙일보, 한겨레에만 등장했다.

사진이나 이미지에 등장한 정당별 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총 1134건(71.7%)의 이미지 중에 더불어민주당이 602건(53.1%), 미래통합당이 607건(53.5%)으로 절반 넘게 차지했다. 거대 양당의 등장이 사진이나 이미지 등장에서 절반을 차지했고, 양당 중심으로 부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의당, 국민의당, 민생당이 10건 중 1건 꼴로 등장했으나 이외 군소정당 혹은 신생정당은 제대로 이미지를 드러내지 못했다.

 

자질 검증 보도인가? 흠집내기 보도인가?

지역의 개별 정책 의제보다도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같은 중앙 의제가 부각되면서 후보자의 자질 검증 보도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언론은 후보자 자질 검증에 소극적으로 임하거나, 흠집내기 검증에 불과한 보도를 내놓았다.

한겨레는 <미래한국 비례대표 7번 “제주 4·3은 좌익 폭동”>(4/2)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후보자 7번이었던 정경희 영산대 교수가 제주 4·3사건을 “좌익 폭동”이라고 표현하는 등 과거 저서와 인터뷰에서 4·3을 왜곡한 발언을 한 바 당선된다면 국회 교육위원회에 소속될 가능성이 큰 만큼 역사학계의 우려가 크다고 평가했다. 경향신문 <성차별주의자 공천한 정당들>(4/3)은 여성인권과 성평등이라는 가치에 반하거나 성인지 감수성이 떨어지는 후보자들이 공천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텔레그램 n번방 사건이 주요 현안으로 떠오른 시기인 만큼 유권자들에게 유익보도가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조선일보의 자질 검증의 사례로 <금태섭 꺾은 강선우 미국 대학강의 평가, 거의 낙제점>(4/2)은 강서갑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미국에서 조교수로 재직할 때 낙제점에 해당하는 강의평가를 받았다고 전하는 내용에 그쳤다. <민주 비례 19번 엄마 찬스 논란…거기에 기름 부은 비례 4번 김홍걸>(3/17)은 김대중 대통령의 삼남인 김홍걸 민주당 4번 후보자가 페이스북 댓글을 썼는데 이에 누리꾼들이 “부모 찬스의 원조가 등장했다”고 비판한 댓글을 언급하며 기사화하기도 했다.

 

Ⅱ. 양적분석 결과

 

1. 선거 보도 비중 ‘신천지 코로나’로 10.6%까지 하락, 선거 직전 28.4%까지 증가

 

모니터 기간 선거관련 기사 4000건, 전체 기사에서 17.0% 차지

2월 17일(D-58)부터 4월 14일(D-1)까지 총 8주간 6개 종합일간지의 선거관련 보도를 양적으로 분석했다. 기간 중 선거 관련 보도량은 4천건으로 전체보도수 23,562건 중에서 17.0%를 차지했다. 선거관련 보도수가 가장 많은 신문은 조선일보로 866건이며, 동아일보가 667건, 한국일보가 663건 순이다. 보도비중으로 보면, 중앙일보가 24.3%로 가장 높고, 조선일보가 19.7%, 한겨레가 15.9%순이었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보도량 분석

선거관련 보도수

646

667

866

541

617

663

4000

전체 보도수

4570

4218

4387

2227

3888

4272

23562

전체 보도수 대비 비중

14.1%

15.8%

19.7%

24.3%

15.9%

15.5%

17.0%

사전선거운동기간

(2/17~4/1)

427

416

576

357

401

435

2612

66.1%

62.4%

66.5%

66.0%

65.0%

65.6%

65.3%

선거운동기간

(4/2~4/14)

219

251

290

184

216

228

1388

33.9%

37.6%

33.5%

34.0%

35.0%

34.4%

34.7%

△ <표2> 매체별 4・15총선 관련 보도건수와 비중(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그림1.jpg

△ <그림1> 4・15총선 관련 신문의 선거 보도 주차별 비중(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평균 선거 관련 보도비중의 추이를 살펴보면, 2월 3째주(2/17~2/22)에는 17.0%를 차지했던 선거 보도 비중이 2월 4째주(2/24~2/29) 10.6%로 급감했고, 3월 26일부터 27일까지 후보자 등록을 마친 이후의 4월 1째주(3/30~4/4)에 15.3%, 투표시기를 포함한 4월 2째주(4/6~4/14)는 28.4%까지 상승했다.

코로나19의 전국적 확산 우려에 대비해 정부는 2월 23일(일)부터 감염병 위기경보 단계를 ‘경계’에서 ‘심각’으로 격상했다. 2월 26일(수) 기준 코로나19 확진환자수가 1천명을 넘으면서 선거 보도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었다.

 

스트레이트 2,358건(59.0%), 기획보도 314건(7.9%)

보도유형별로 보면, 59.0%(2,358건)가 스트레이트 기사였고, 칼럼 15.4%(615건), 사진기사 8.3%(332건), 기획/연재 7.9%(314건), 사설 6.9%(274건), 인터뷰 2.5%(98건)이 있었다. 사실확인보도는 0.2%(9건)에 그쳤다. 중앙일보는 기획/연재 보도가 69건(12.8%)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일보는 인터뷰 보도가 33건(5.0%)으로 가장 많았다. 조선일보는 사설이 59건(6.8%)으로 가장 많았고, 중앙일보는 칼럼이 139건(25.7%)으로 가장 많았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보도

유형 분석

스트레이트

378

431

572

246

348

383

2358

58.5%

64.6%

66.1%

45.5%

56.4%

57.8%

59.0%

기획, 연재

49

57

33

69

51

55

314

7.6%

8.5%

3.8%

12.8%

8.3%

8.3%

7.9%

인터뷰

13

6

19

18

9

33

98

2.0%

.9%

2.2%

3.3%

1.5%

5.0%

2.5%

사설

40

49

59

44

46

36

274

6.2%

7.3%

6.8%

8.1%

7.5%

5.4%

6.9%

칼럼

91

63

102

139

101

119

615

14.1%

9.4%

11.8%

25.7%

16.4%

17.9%

15.4%

사진

75

60

78

22

62

35

332

11.6%

9.0%

9.0%

4.1%

10.0%

5.3%

8.3%

사실 확인 보도

0

1

3

3

0

2

9

0.0%

.1%

.3%

.6%

0.0%

.3%

.2%

합계

646

667

866

541

617

663

4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표3> 매체별 4・15총선 관련 보도유형(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3월1째주부터 보도량이 증가하기 시작해서 보도비중 추이를 보면, 3월2째주에 13.3%(375건), 3월3째주에 14.8%(416건), 3월4째주 15.3%(440건)으로 증가했고, 선거운동기간을 포함하는 기간인 4월1째주 21.6%(600건), 투표일 직전까지인 4월2째주에 28.4%(1087건)까지 선거보도가 증가했다(<그림1>, <표4> 참조). 기획, 연재, 특집 보도 유형이 3월3째주부터 크게 증가했고, 사진 유형이 3월4째주부터 9.8%, 10.8%, 9.4%까지 늘었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사실확인 보도가 증가하고 중요성이 컸던 것과 비교해 볼 때 사실 확인 보도는 총 9건으로 매우 적다.

구분

2월3째주

2월4째주

3월1째주

3월2째주

3월3째주

3월4째주

4월1째주

4월2째주

스트레이트

310

193

202

244

230

271

313

595

65.4%

65.2%

64.7%

65.1%

55.3%

61.6%

52.2%

54.7%

기획, 연재

9

2

13

10

46

24

70

140

1.9%

.7%

4.2%

2.7%

11.1%

5.5%

11.7%

12.9%

인터뷰

12

9

3

10

10

11

18

25

2.5%

3.0%

1.0%

2.7%

2.4%

2.5%

3.0%

2.3%

사설

38

12

18

27

29

27

50

73

8.0%

4.1%

5.8%

7.2%

7.0%

6.1%

8.3%

6.7%

칼럼

74

62

56

55

71

64

84

149

15.6%

20.9%

17.9%

14.7%

17.1%

14.5%

14.0%

13.7%

사진

29

18

20

25

30

43

65

102

6.1%

6.1%

6.4%

6.7%

7.2%

9.8%

10.8%

9.4%

사실 확인 보도

2

0

0

4

0

0

0

3

.4%

0.0%

0.0%

1.1%

0.0%

0.0%

0.0%

.3%

합계

474

296

312

375

416

440

600

1087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표4> 매체별 4・15총선 관련 주차별 보도유형(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2. 서울지역 58.3%… 선거 보도 대부분 ‘수도권’ 집중

선거 보도에서 지역을 언급한 기사는 총 1750건(43.7%)이 있었다. 지역을 언급하지 않은 선거 보도 2250건(56.3%)를 제외하고 각 지역별 언급 비중을 비교했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서울지역

167

188

199

150

150

167

1021

58.0%

61.8%

54.5%

61.0%

60.2%

56.0%

58.3%

경기지역

120

114

138

112

102

125

711

41.7%

37.5%

37.8%

45.5%

41.0%

41.9%

40.6%

강원지역

31

38

36

31

25

40

201

10.8%

12.5%

9.9%

12.6%

10.0%

13.4%

11.5%

충북지역

28

32

32

34

22

43

191

9.7%

10.5%

8.8%

13.8%

8.8%

14.4%

10.9%

충남지역

45

52

54

56

35

49

291

15.6%

17.1%

14.8%

22.8%

14.1%

16.4%

16.6%

경북지역

102

90

98

83

78

88

539

35.4%

29.6%

26.8%

33.7%

31.3%

29.5%

30.8%

경남지역

86

88

82

64

69

82

471

29.9%

28.9%

22.5%

26.0%

27.7%

27.5%

26.9%

전북지역

48

32

41

37

25

35

218

16.7%

10.5%

11.2%

15.0%

10.0%

11.7%

12.5%

전남지역

63

58

61

49

33

51

315

21.9%

19.1%

16.7%

19.9%

13.3%

17.1%

18.0%

제주지역

19

13

13

14

8

9

76

6.6%

4.3%

3.6%

5.7%

3.2%

3.0%

4.3%

합계

288

304

365

246

249

298

1750

지역표시없음

358

363

501

295

368

365

2250

55.4%

54.4%

57.9%

54.5%

59.6%

55.1%

56.3%

△ <표5> 매체별 4・15총선 관련 보도에서 지역의 등장 빈도(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언급된 횟수로 중복 집계

지역을 언급한 기사 중 절반 이상인 58.3%(1,021건)에서 서울지역을 언급했다. 경기지역 언급비중은 40.6%(711건)이었다. 서울 또는 경기 지역을 언급한 보도비중은 70.3%(1,230건)를 차지했다. 즉, 기사에서 지역을 언급했다면 10건 중 7건이 수도권 지역구였다는 의미다.(<그림4> 참조).

한편, 경북지역 30.8%(539건), 경남지역 26.9%(471건) 각각 언급됐다. 경상도 전체로 따지면 44.3%(775건)의 비중을 나타냈다. 전남지역이 18.0%(315건), 전북지역이 12.5%(218건)으로 전라도는 20.7%(362건)가 언급됐고, 충남지역이 16.6%(291건), 충북지역이 10.9%(191건)으로 충청도는 19.8%(347건)이 있었다. 강원지역은 11.5%(201건), 제주지역은 4.3%(76건) 순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언급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경북과 경남지역의 언급이 4주째까지 높다가 이후 줄어들며, 전북지역의 경우 언급이 갈수록 증가하였다. (<그림2> 참조)

그림2.jpg

△ <그림2> 4・15총선 관련 신문의 주차별 지역의 언급 비중(2/17~4/14, 중복집계) ©민주언론시민연합

 

3. ‘선거전략’·‘공천관련’ 편중 반복…검증·정책·후보자 정보 실종

선거 보도의 주제는 △후보자 기본정보 △정책 및 공약 △후보의 자질 △공천 관련 보도 △정당의 이합집산이나 선거연대 등 선거 전략 △선거 판세나 여론조사 △후보 동정 △선거법 관련 △시민사회 동향 △기타 등 10가지 항목으로 분류해 중복 집계했다.

정당의 이합집산, 선거연대 등을 다룬 ‘선거전략’ 보도가 1448건(36.2%)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서 ‘공천관련’(645건, 16.1%), ‘선거법 관련’(14.6%, 585건), ‘정책공약’(13.3%, 531건), ‘후보동정’(10.1%, 403건), ‘선거판세/여론조사’(8.5%, 340건), ‘후보자 기본정보’(6.2%, 248건), ‘후보자 자질’(5.2%, 206건) 순이었다(<표6> 참조).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후보자 기본정보

26

38

63

55

28

38

248

4.0%

5.7%

7.3%

10.2%

4.5%

5.7%

6.2%

정책 공약

114

87

94

70

81

85

531

17.6%

13.0%

10.9%

12.9%

13.1%

12.8%

13.3%

후보자 자질

29

28

57

18

34

40

206

4.5%

4.2%

6.6%

3.3%

5.5%

6.0%

5.2%

공천 관련

121

131

148

69

81

95

645

18.7%

19.6%

17.1%

12.8%

13.1%

14.3%

16.1%

선거전략

246

264

323

168

208

239

1448

38.1%

39.6%

37.3%

31.1%

33.7%

36.0%

36.2%

선거판세여론조사

41

50

51

68

60

70

340

6.3%

7.5%

5.9%

12.6%

9.7%

10.6%

8.5%

후보동정

70

64

114

39

55

61

403

10.8%

9.6%

13.2%

7.2%

8.9%

9.2%

10.1%

선거법 관련

90

118

105

66

103

103

585

13.9%

17.7%

12.1%

12.2%

16.7%

15.5%

14.6%

시민사회동향

37

9

22

9

31

31

139

5.7%

1.3%

2.5%

1.7%

5.0%

4.7%

3.5%

기타

88

88

165

141

108

117

707

13.6%

13.2%

19.1%

26.1%

17.5%

17.6%

17.7%

합계

646

667

866

541

617

663

4000

△ <표6> 매체별 4・15총선 관련 보도에서 보도 주제(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각 주제별로 중복 집계

보도주제별 언급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선거전략 관련 보도가 3월2째주(3/9~3/14)부터 내내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정책공약’ 보도는 후보자 등록을 마친 이후인 4월1째주(3/30~4/4)가 되어 보도량이 늘었다가 서서히 감소했다. ‘선거법 관련’ 보도는 3월3째주(3/16~3/21)에 늘었다가 줄어든 양상을 나타냈다.

그림3.jpg

△ <그림3> 4・15총선 관련 신문의 주차별 보도주제 비중(2/17~4/14, 중복집계, ‘기타’ 제외 표시) ©민주언론시민연합

   

4. 거대 양당 중심 보도 여전…비례정당 관심 쏠리니 원내정당 등장은 줄어

선거 보도에서 정당을 언급한 기사 3,061건(76.5%) 가운데 각 정당별 등장정도를 비교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언급이 73.5%(2251건)로 가장 두드러졌고, 미래통합당도 67.9%(2079건)으로 등장 빈도가 높았다. 거대 양당을 등장시킨 보도가 10건 중 7건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정의당 20.8%(637건), 국민의당 14.4%(440건), 민생당 10.4%(317건)이 언급됐다.

이번 선거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실시한 첫 번째 총선이었다. 35개의 정당이 비례대표 선거에 뛰어들었다. 거대 정당들은 비례대표 정당을 내세우면서 지역구 후보를 내지 않은 정당들과 경쟁했다. 기사 언급량을 보면 미래한국당이 533건(17.4%), 더불어시민당이 440건(14.4%), 열린민주당이 9.7%(296건) 순으로 많았다. 더불어시민당이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정당으로 확정되기 전 단계에서 비례정당이 비례민주당 혹은 비례연합정당으로 통칭된 경우도 6.6%(202건) 있었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더불어민주당

356

403

503

309

325

355

2251

71.5%

74.6%

73.5%

80.3%

69.4%

73.0%

73.5%

미래통합당

337

392

411

269

309

361

2079

67.7%

72.6%

60.1%

69.9%

66.0%

74.3%

67.9%

정의당

143

79

84

93

133

105

637

28.7%

14.6%

12.3%

24.2%

28.4%

21.6%

20.8%

미래한국당

96

97

89

81

84

86

533

19.3%

18.0%

13.0%

21.0%

17.9%

17.7%

17.4%

더불어시민당

73

86

88

69

58

66

440

14.7%

15.9%

12.9%

17.9%

12.4%

13.6%

14.4%

국민의당

68

54

62

44

45

57

330

13.7%

10.0%

9.1%

11.4%

9.6%

11.7%

10.8%

민생당

60

64

57

44

42

50

317

12.0%

11.9%

8.3%

11.4%

9.0%

10.3%

10.4%

열린민주당

39

56

67

61

31

42

296

7.8%

10.4%

9.8%

15.8%

6.6%

8.6%

9.7%

비례민주당(비례연합정당)

49

25

40

21

32

35

202

9.8%

4.6%

5.8%

5.5%

6.8%

7.2%

6.6%

자유한국당

31

35

38

33

28

33

198

6.2%

6.5%

5.6%

8.6%

6.0%

6.8%

6.5%

바른미래당

29

26

33

20

16

21

145

5.8%

4.8%

4.8%

5.2%

3.4%

4.3%

4.7%

녹색당

34

7

14

12

32

18

117

6.8%

1.3%

2.0%

3.1%

6.8%

3.7%

3.8%

민중당

18

11

18

7

19

11

84

3.6%

2.0%

2.6%

1.8%

4.1%

2.3%

2.7%

우리공화당

10

14

14

10

10

10

68

2.0%

2.6%

2.0%

2.6%

2.1%

2.1%

2.2%

그 외

정당 언급 있음

498

540

684

385

468

486

3061

정당 언급

없음

148

127

182

156

149

177

939

22.9%

19.0%

21.0%

28.8%

24.1%

26.7%

23.5%

△ <표7> 매체별 4・15총선 관련 기사에서 등장정당(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 기사에서 한 번이라도 언급된 정당은 모두 집계

그림4.jpg

△ <그림4> 4・15총선 관련 신문기사에서 주차별 등장 정당의 언급 비중(2/17~4/14, 중복집계) ©민주언론시민연합

사진이나 이미지에서 정당 표시가 있는 1,134건(28.3%) 중에서 정당별 언급 비중을 비교했다. 거대 양당의 등장이 절반 이상으로, 미래통합당 53.5%(607건)이고 더불어민주당이 51.1%(602건)였다. 양당의 등장이 신문별로 큰 차이없이 다른 정당보다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외 정의당이 185건(16.3%)으로 많고, 국민의당 127건(11.2%), 미래한국당 111건(9.8건), 민생당 108건(9.5%), 더불어시민당 88건(7.8%), 열린민주당 61건(5.4%) 순으로 등장했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미래통합당

85

104

111

96

88

123

607

43.6%

65.8%

50.5%

57.8%

55.0%

52.3%

53.5%

더불어민주당

93

100

110

93

87

119

602

47.7%

63.3%

50.0%

56.0%

54.4%

50.6%

53.1%

정의당

46

28

13

25

41

32

185

23.6%

17.7%

5.9%

15.1%

25.6%

13.6%

16.3%

국민의당

25

25

19

19

15

24

127

12.8%

15.8%

8.6%

11.4%

9.4%

10.2%

11.2%

미래한국당

21

23

17

20

13

17

111

10.8%

14.6%

7.7%

12.0%

8.1%

7.2%

9.8%

민생당

24

25

16

14

16

13

108

12.3%

15.8%

7.3%

8.4%

10.0%

5.5%

9.5%

더불어시민당

19

20

13

12

15

9

88

9.7%

12.7%

5.9%

7.2%

9.4%

3.8%

7.8%

열린민주당

12

18

6

10

7

8

61

6.2%

11.4%

2.7%

6.0%

4.4%

3.4%

5.4%

무소속

10

12

6

9

9

9

55

5.1%

7.6%

2.7%

5.4%

5.6%

3.8%

4.9%

그 외

정당 언급 있음

195

158

220

166

160

235

1134

정당 언급

없음

451

509

646

375

457

428

2866

69.8%

76.3%

74.6%

69.3%

74.1%

64.6%

71.7%

△ <표8> 매체별 4・15총선 관련 사진에서 등장정당(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 기사에서 한 번이라도 언급된 정당은 모두 집계

그림5.jpg

△ <그림5> 4・15총선 관련 신문의 사진 혹은 이미지에 등장한 정당의 언급 비중(2/17~4/14, 중복집계) ©민주언론시민연합

 

5. 유익보도, ‘시민질의논평’·‘선거법 관련’ 많았다

선거보도의 유익성 여부는 △정책을 제공하는지 △비교 평가를 제공하는지 △팩트체크가 포함되었는지 △시민사회 여론이나 자발적 운동을 소개했는지 △신진후보나 군소정당을 단독으로 소개했는지 △시민의 질의나 평가를 소개했는지 △시민들의 정치참여 방법을 소개했는지 △선거 관련법을 소개하거나 해설했는지 등 총 8개 기준으로 분류해 집계했다.

유익보도는 총 1,061건(26.5%)을 꼽을 수 있었다. 공정하게 엄선된 전문가뿐 아니라 다수의 시민들이 정당과 후보자에게 질문과 논평할 기회를 드러낸 ‘시민질의논평’을 포함한 보도가 402건(38.2%)으로 가장 많았다. ‘정책공약제공’ 관련 보도는 331건(31.5%)이 있었다. 정당의 정책과 후보자의 공약을 단순 나열하지 않고 비교 검증한 보도는 78건(7.4%)으로 정책공약 제공 보도의 5분의 1 수준에 과한 점은 아쉬운 점이다.

선거 관련법을 포함하여 선거구 개편, 만18세이상 선거권 부여와 관련해서 투표 및 선거관련 정보를 제공한 ‘선거법관련’ 보도가 258건(24.5%)이 있었다. ‘시민사회여론운동’은 시민의 긍정적인 선거참여를 독려하는 단체 및 집단의 활동으로 132건(12.5%)이 있었고, 신진후보, 군소 정당 및 소속 후보를 단독 기사로 다룬 경우도 117건(11.1%)이 있었다. 온라인 추가 정보 제공 관련 보도는 20건(19.9%)이 있다. 사실확인보도는 총 4건(0.4%)에 불과했다(<표9>참조).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정책제공

75

59

51

37

54

55

331

36.6%

42.1%

27.1%

26.6%

27.0%

30.6%

31.5%

비교평가정보

27

15

4

6

17

9

78

13.2%

10.7%

2.1%

4.3%

8.5%

5.0%

7.4%

사실확인검증

0

1

1

0

0

2

4

0.0%

.7%

.5%

0.0%

0.0%

1.1%

.4%

시민사회여론운동

41

9

20

10

30

22

132

20.0%

6.4%

10.6%

7.2%

15.0%

12.2%

12.5%

신진후보군소정당

28

9

20

8

33

19

117

13.7%

6.4%

10.6%

5.8%

16.5%

10.6%

11.1%

시민질의논평

78

38

67

71

78

70

402

38.0%

27.1%

35.6%

51.1%

39.0%

38.9%

38.2%

온라인 추가정보

5

3

1

4

5

2

20

2.4%

2.1%

.5%

2.9%

2.5%

1.1%

1.9%

선거법

관련

44

49

43

31

45

46

258

21.5%

35.0%

22.9%

22.3%

22.5%

25.6%

24.5%

합계

205

140

188

139

200

180

1052

보도수 대비비중

31.7%

21.0%

21.7%

25.7%

32.4%

27.1%

26.3%

 △ <표9> 매체별 4・15총선 관련 유익보도(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각 항목별로 중복 집계

 그림6.jpg

△ <그림6> 4・15총선 관련 신문의 유익보도 비중(2/17~4/14, 중복집계) ©민주언론시민연합

 

6. 유해보도, ‘익명취재원’·‘따옴표큰제목’ 언론 고질병 그대로

선거보도의 유해성 여부는 △우열에만 초점을 맞춘 경마성 보도 △지엽적인 가십성/이벤트 중심 보도 △폭로성 주장을 일방적으로 다루는 보도 △폭로나 인신공격으로 갈등을 빚는 양측의 주장을 사실관계 확인 없이 단순 보도 △양대 정당 중심 보도 △정치혐오성 보도 △전쟁이나 군사용어로 선거 판세를 표현하는 전투형 보도 △지역/연고주의 보도 △익명 취재원 보도 △따옴표 보도 △오보 등 총 11개 기준으로 구분해 집계했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경마 중계성

6

16

10

33

12

19

96

2.1%

4.1%

1.8%

10.9%

5.1%

5.7%

4.6%

가십

이벤트

6

5

15

2

3

4

35

2.1%

1.3%

2.8%

.7%

1.3%

1.2%

1.7%

일방중계

1

5

21

5

1

4

37

.3%

1.3%

3.9%

1.7%

.4%

1.2%

1.8%

나열중계

1

1

4

6

0

0

12

.3%

.3%

.7%

2.0%

0.0%

0.0%

.6%

양대정당중심

74

122

127

85

82

109

599

25.7%

31.0%

23.5%

28.1%

34.7%

32.8%

28.6%

정치혐오

55

58

125

58

18

49

363

19.1%

14.8%

23.1%

19.1%

7.6%

14.8%

17.3%

전투경기표현

34

47

35

23

25

41

205

11.8%

12.0%

6.5%

7.6%

10.6%

12.3%

9.8%

지역연고주의

30

42

33

26

27

54

212

10.4%

10.7%

6.1%

8.6%

11.4%

16.3%

10.1%

익명

취재원

121

172

261

107

102

111

874

42.0%

43.8%

48.2%

35.3%

43.2%

33.4%

41.8%

따옴표 큰제목

62

119

163

93

49

89

575

21.5%

30.3%

30.1%

30.7%

20.8%

26.8%

27.5%

오보

1

1

1

0

1

0

4

.3%

.3%

.2%

0.0%

.4%

0.0%

.2%

합계

288

393

541

303

236

332

2093

보도수 대비비중

44.6%

58.9%

62.5%

56.0%

38.2%

50.1%

52.3%

△ <표10> 매체별 4・15총선 관련 유해보도(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각 항목별로 중복 집계함

그림7.jpg

△ <그림7> 4・15총선 관련 신문의 유해보도 비중(2/17~4/14, 중복집계) ©민주언론시민연합

유해보도 유형 중에서 ‘익명취재원’을 쓴 보도가 874건(41.8%)으로 가장 많았다. 조선일보의 261건의 기사에서 익명취재원이 등장했고, 동아일보가 172건이 있었다. ‘양대정당중심’ 보도가 599건(28.6%)에 해당했다.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만 다룸으로 양당구도를 고착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보도 유형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따옴표 큰제목’ 보도가 575건(27.5%)이 있었다.

‘정치혐오’ 조장 보도도 363건(17.3%)이 있었다. 조선일보에 125건(23.1%)으로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지역연고주의’를 드러낸 보도가 212건(10.1%)이 있고, ‘전투경기표현’ 보도는 205건(9.8%)으로 집계됐다.

신문별 유해보도 기사수를 비교하면, 조선일보가 541건으로 가장 많고, 동아일보가 393건, 한국일보가 332건, 중앙일보가 303건, 경향신문 288건, 한겨레가 236건 순이다. 

신문별 유익보도와 유해보도 비중을 비교해 본 결과는 <그림8>과 같다. 유익보도와 유해보도의 차이가 가장 큰 언론사는 조선일보였다. 전체 신문의 유해보도 등장 평균은 52.3%였고, 유익보도 등장 평균은 26.3%였다.

그림8.jpg

△ <그림8> 4・15총선 관련 신문의 유익/유해보도 비중(2/17~4/14) ⓒ민주언론시민연합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20/2/17~4/14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지면보도에 한함)

<끝>

양적분석 총괄 김수정 정책위원(02-392-0181)

 

vote_202000709_104.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