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민주노총 총파업, 조중동 주장대로 정말 ‘땡깡’일까
등록 2017.06.26 18:49
조회 535

이달 30일로 예정된 사회적 총파업을 앞두고, 민주노총을 향한 공세가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주노총을 향해 쏟아지고 있는 비판은 ‘새 정부가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조금 더 자중하고 기다려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점잖은’ 조언부터 ‘기득권 노조가 촛불 빚을 받으려 한다’는 악의적 비방까지 다양한 논리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표현 방식은 다르지만 이런 지적의 핵심 요구사항은 결국 ‘파업이니 투쟁이니 떠들지 말고 가만히 있으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논리의 기반에는 노동자의 파업을 ‘단순한 파괴행위’로 보는 시각과 노조를 동등한 파트너가 아닌 정부에 종속된 집단으로 치부하는 고정관념이 놓여있습니다. 그러나 파업은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자의 자연스러운 권리 행사’이며, 노동자 권리 개선을 위해 때로는 정부와 협력하고 견제해야 할 독립집단인 노조가 정부가 제대로 된 방향으로 개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나름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기도 합니다. 그런 노조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노동 문제 현안을 의제화하기 위해 파업을 결의했다는 이유로, 노조에 대한 비난을 쏟아내는 것은 지극히 우려스러운 행태입니다.


무엇보다 이번 총파업은 △최저임금 1만원 △비정규직 철폐 △노조할 권리 보장 △재벌개혁 △적폐청산 등 촛불 의제 실현과 사회적 약자인 취약계층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전하기 위해 열리는 것인데요. 이를 ‘대기업 노조가 기득권을 챙기기 위해 시도하는 이기적 투쟁’이라 말하는 것은 기본적인 사실관계에도 부합하지 않는 것이지요. 그런데도 이런 상황에서 조중동은 끈질기게 ‘기득권 노조의 사회혼란 유발’이라는 프레임을 전개하며, 민주노총에 대한 부정적 편견 확산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조선일보 민주노총 총파업 보도, 6월 들어서만 14건
이번 총파업에 대한 조중동의 ‘높은 관심’은 보도량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월 1일부터 26일까지, 조선일보는 무려 14건의 기사에서, 동아일보는 9건의 기사에서 ‘30일로 예정된 사회적 총파업’ 혹은 ‘총파업 주간’을 직접적으로 언급했습니다. 대부분의 사회적 사안에 대해 ‘침묵’하거나 ‘단신’만을 내놓아온 중앙일보도 이 사안에 대해서는 사설을 포함해 4건의 보도를 내놓았지요. 반면 같은 기간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각각 1건의 보도에서, 한국일보는 2건의 보도에서 민주노총의 30일 사회적 총파업을 언급했습니다. 

 

첫 문장은 다르지만 결론은 모두 같은 조선일보 ‘민주노총 비판’ 사설 
특히 조선일보는 이 기간 총 4건의 사설을 할애해가며 총파업을 비롯한 민주노총의 투쟁 행위를 비난했는데요. 제목도, 시기도, 비난 소재도 모두 다른 사설의 결론이 언제나 ‘급여도 많이 받는 민주노총이 총파업을 준비하는 것을 보아 이들이야말로 적폐고 기득권이라 할 수 있다’는 것으로 모아진다는 점은 신기할 지경입니다.


이를테면 13일 민주노총의 경총 항의 방문 시위를 지적하며 시작된 <사설/권세 부리는 민노총, 제 세상 만났다는 건가>(6/15 https://goo.gl/HYWWQi)는 △“민노총은 오는 30일 총파업도 예고하고 있다. 비정규직 차별 철폐, 최저임금 1만원 즉시 인상을 요구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러지 않아도 정부가 한다고 공언하고 있는데도 실력 행사부터 하겠다는 것이다” △“민노총에는 급여 수준과 처우가 좋은 대기업·공기업 정규직 노조가 주로 가입해 있다” △“비정규직 차별을 없애려면 민노총부터 양보해야 한다. 민노총은 반대로 제 세상 만난 듯 온갖 곳에서 권세를 부리고 있다. 이야말로 적폐다”라는 주장으로 마무리됩니다.  

 

K-003-vert-horz.jpg

△ 6월 1일부터 26일까지 총파업을 언급하며 민주노총을 비판한 조선일보 사설들(6/26) 

 


또 민주노총 소속 건설노조 조합원들의 1박2일 도심 투쟁을 지적하며 시작된 <사설/특권 집단 민노총의 ‘기득권과의 전쟁’>(6/22 https://goo.gl/V5dVQs)에서도 조선일보는 민주노총이 △“30일엔 또 수만 명 규모의 '사회적 총파업' 투쟁을 벌인다”며 △“최상층 연봉을 받는 사람들이 누구를 향해 ‘기득권 세력’이라는 건지 알 수가 없다. 이제는 정권 창출에 기여했다며 제 세상 만난 듯 위세를 부리고 있다” △“지금 비정규직의 어려운 처지는 민노총 같은 특권 노조의 기득권 고집으로 인한 것이다. 민노총이 자신들의 고임금을 비정규직과 나누고, 철밥통을 깨서 일자리를 늘리면 많은 문제가 해결된다” “이것이 기득권이자 적폐가 아니면 무엇인가”라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조합원들이 청와대 인근 인도에 천막을 설치한 것을 비난하며 시작된 <사설/청와대 앞길 연다니 민노총 농성 천막부터 섰다>(6/24 https://goo.gl/MND9ge) 역시 △“민노총은 오는 30일엔 이른바 ‘사회적 총파업’이라는 걸 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는 중이다” “정부 출범에 도움을 줬으니 그 빚을 갚으라고 노골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대표적 기득권 집단인 민노총은 ‘물러설 수 없는 전쟁이 시작됐다’는 황당한 말까지 하면서 정부와 국민을 겁주고 있다”라며 ‘조선일보식 민주노총 비난 공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데요. 해당 사설에는 “만약 정부가 민노총에 쩔쩔매고 끌려만 다니면 청와대 앞길은 얼마 안 가 온갖 농성 단체의 천막촌으로 변해버릴 것이다”라는 ‘정부를 향한 으름장’이 추가되어 있기도 합니다. 


민주노총과 시민단체 등이 24일 주한 미국대사관을 인간띠로 감싼 것을 비난하며 시작되는 <사설/한국대사관이 시위대에 포위되면 어떻겠나>(6/26 https://goo.gl/aVk9KA)의 경우 앞서 보도와는 그 구성이 조금 다른데요. 이번엔 미국의 심기를 거스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표출하는데 좀 더 집중했습니다. 실제 조선일보는 “한반도 전쟁 억지와 평화 유지에 핵심 역할을 하는 유일한 동맹국의 대사관을 포위했다”며 “아무리 극단적인 생각과 행동을 하는 사람들의 망동이라고 해도 미국 사람들이 이 행태를 어떻게 볼지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만약 워싱턴이나 도쿄의 우리 대사관이 미국이나 일본 사람들에 의해 포위당하는 일이 일어난다면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생각하겠나”라는 주장을 펼쳤는데요.

 

이렇게 전전긍긍하면서도 조선일보는 “민노총은 28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를 이른바 ‘사회적 총파업 주간’으로 설정하고 30일 서울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 예정이라고 한다”라며 총파업에 대한 비난은 빼놓지 않았습니다.   

 

사설 외 기사에서도 ‘파업 피해 부각’에 몰두
사설만 문제였던 것은 아닙니다. 조선일보는 21일 1면 <팔면봉>에서는 “재작년 ‘탄압 뚫고 총파업’ 외치던 민노총 위원장 이번엔 ‘적폐청산 총파업’ 옥중 서신. 힘자랑도 여러 가지”라며 민주노총의 한상균 위원장 옥중 편지 공개를 비난했습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힘이 있는 단체의 수장이라면 감옥에 갇혀서 자신의 의견을 편지로만 말하지는 않겠지요. 


그 외에도 조선일보는 <촛불 대가 받겠다는 민노총 “칭기즈칸 속도전으로 밀어붙이자”>(6/21 주형식 기자)에서는 노조의 당연한 투쟁 행위를 ‘촛불 대가를 받아내기 위한 행위’로 폄훼했습니다.

 

또 <24‧30일에도 대규모 도심집회 한다는데…>(6/22 김승현 기자)나 <민노총, 서울 도심 3개 차로서 행진… 평일 출근길이 막혔다>(6/22 이준우‧주형식‧윤수정 기자) 등에서는 도심 집회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민노총 총파업 갑니다” 가정통신문 돌린 학교>(6/26 김연주․정성원 기자) 역시 민주노총 조합원들의 총파업 참여로 학생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는데요. 출근길 몇 시간의 불편이나 30일 하루 조합원들이 집회에 참가해 발생할 기회비용은 큰일이라도 난 듯 부각하면서, 일상적으로 소외받고 있는 노동자․국민의 처지나 이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행위 자체의 가치는 외면하고 있는 것이지요. 특히 조선일보가 위의 기사에서 지적한 포남초등학교 사례의 경우 총파업에 참가하는 교육공무직과 교사들로 인해 중단된 교육 시간은 고작 3시간에 불과한데요. 이를 ‘학습권 침해’라며 호들갑을 떠는 것은 우스운 일입니다. 

 

동아․중앙도 조선일보 논리와 판박이
이 같은 논리는 동아일보와 중앙일보에서도 그대로 반복되는데요. 동아일보는 <“민노총 총파업 참가” 가정통신문 보낸 초등교>(6/26 이인모․노지원 기자)를 통해 “학생과 학부모의 불편이 예상된다”며 마치 교직원들의 총파업 참여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라도 되는 양 부각했습니다.

 

같은 날 <기자의 눈/일자리 위해 양보하는 中企… 꿈쩍않는 민노총>(6/26 김도형 기자 https://goo.gl/qV5Jex)에서는 “정치·외교 이슈까지 입맛대로 주무르려는 민노총의 모습은 양보와 거리가 멀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어 마음이 무겁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사설/한미 회담 직전 ‘美대사관 포위’한다는 사드 반대자들>(6/24 https://goo.gl/hi9eVh)에서는 대사관 주변 인간띠 집회에 대해 “우리 안보 보루인 한미동맹의 주축인 미국에 외교적 결례이기도 하다”는 걱정을 쏟아내기도 했습니다. 


중앙일보는 더 바빴는데요. 먼저 <사설/완전 개방 청와대 앞길 막은 민노총 불법 텐트>(6/24 https://goo.gl/8zLKRF)에서는 민주노총 조합원들의 청와대 인근 텐트 설치에 대해 “이는 공권력을 우습게 아는 것을 넘어 정권을 만들어 줬으니 대가를 내놓으라고 요구하는 ‘빚 독촉’과 다름 아니다”라는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특히 총파업에 대해서는 “그들은 ‘촛불 청구서’를 접수시키기 위해 30일 사회 총파업까지 계획하고 있다. 민주노총이 촛불시위에 참여했다고는 하나 촛불의 주체는 결코 민주노총이 아니다. 오히려 그들이 인도를 점거해 불편을 겪고 있는 일반 시민들이며, 시민들은 문재인 정부가 성공해 ‘나라다운 나라’를 만드는 것 말고는 아무런 대가를 요구하지 않는다”라며 민주노총과 일반 시민들을 갈라치기 하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애초 민주노총이 총파업을 결의한 이유는 노조할 권리와 비정규직 철폐 등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기 위한 노동계의 요구와 재벌 개혁 등의 촛불 의제를 정부에 재차 전달하고, 이에 대한 활발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시키기 위해서인데요. 중앙일보는 어째서인지 민주노총이 ‘난생 처음 보는 엉뚱한 주장’이라도 펼친다는 식의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이지요.

 

중앙일보는 <사설/‘대선 때 빛’ 갚으라고 광화문 출근길 막은 노조>(6/22 https://goo.gl/4uX2DG)에서도 “민주노총은 오는 28일부터 7월 8일까지를 ‘사회적 총파업 주간’으로 정하고 30일 대규모 집회와 파업에 나선다” “대선 때 지지해 준 대가를 요구하는 모양인데 이래서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된다”며 정부를 향해 “혼란을 일으키는 극단적 행위에는 엄정하게 대응”하라는 ‘조언’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17년 6월 24~26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신문 지면에 한함)                                      

monitor_20170626_263.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