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보도_
네거티브 공방, 혐오표현 지적 하지 않는 언론
등록 2018.06.12 11:55
조회 243

 

*모니터 기간 : 2018년 5월 14일~5월 18일
*모니터 대상 : 대전일보, 중도일보, 충청투데이, 금강일보

 

6.13 지방선거를 앞둔 5월 14일부터 5월 18일까지의 보도에는 정당 간 네거티브 공방이 주로 보도되었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간의 2자 구도가 돋보이는 보도를 주로 해왔고 그 과정에서 양방 나열식 보도가 줄을 이었다. 

 

모니터 기간 지역 신문 1면에 게재된 지방선거 기사는 지난 모니터 기간과 마찬가지로 하루 평균 1건에 그쳤다. 중도일보가 모니터 기간 합계 8건으로 가장 많은 1면 보도를 했고 충청투데이가 합계 4건으로 가장 적은 1면 보도를 했다. 모니터 기간 동안 1면에 지방선거 이슈가 1건에 그치는 것은 지역 현안보다 중앙 이슈에 더 관심을 기울인 결과로 보인다. 시민들이 구독하는 대부분의 언론이 지방 일간지보다 중앙일간지에 치우친 만큼 일반적인 시민들은 지역 현안보다 중앙 이슈를 더 잘 알고, 궁금해 한다. 그러나 지역 언론이 그러한 흐름을 따라가기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언론부터 산재해 있는 지역 현안에 대한 이슈 팔로우를 해야 시민들도 점점 지역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표-1> 지역 일간지 4사 1면 선거보도

스크린샷 2018-06-12 오전 11.49.58.png

 

모니터 기간 중 가장 많은 선거보도를 한 언론사는 충청투데이로, 총 191건을 보도했다. 대전일보는 137건, 금강일보가 117건, 중도일보가 115건을 보도했다. 물론 보도량이 보도의 ‘질’과 직결되는 건 아니었다. 가장 적은 양의 보도를 한 중도일보는 1면 보도를 가장 많이 했다. 충청투데이에서 발행된 대부분의 기사들은 스트레이트 기사이며 충북 지역 기사가 많았다. 또한 후보자의 공약이나 지역 현안보다는 후보자 약력을 기재해 놓은 기사가 많았다. 

 

<표-2> 지역 일간지 4사 선거보도량

스크린샷 2018-06-12 오전 11.50.12.png

 

지역, 연고주의 부각시키는 헤드라인

모니터 기간 중 지역 일간지 4사 1면 보도 제목을 보면, 지역, 연고주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많았다. 대전일보의 “충청구애 본격화”, 중도일보의 “충청의 선택” “충청홀대 고질병” “충청 1당 차지하라”, 충청투데이의 “충청이 승부처다” 등의 표현이 이를 잘 보여준다. 이와 같은 헤드라인은 지방선거의 의미를 퇴색시키며 특정 지역의 판세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반면 금강일보의 헤드라인은 주로 시민단체(장애인계)의 여론, 활동이나 지역 의제(원도심을 살려라)를 강조하는 제목이 돋보였다.

 

<표-3> 지역 일간지 4사 1면 보도 기사 표제

스크린샷 2018-06-12 오전 11.50.20.png

 

여전히 받아쓰기식 스트레이트 기사가 대부분

지역 일간지 4사의 선거보도 유형은 지난 모니터 기간과 마찬가지로 스트레이트 기사가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사진, 칼럼, 사설이 대부분이었다. 사진기사의 경우 투표 독려 캠페인에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었고 칼럼이나 사설은 투표나 지역의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한 가지 의문은, 유권자들로부터 지역 의제가 관심의 대상이 아니라고 지적하는 지역 언론이야말로 선거 기간 동안 지역 의제를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는 것이다. 후보 약력이나 공약을 받아쓰거나 정당 간 네거티브 공방, 이나 행사에 치중해 있었던 게 사실이다. 언론부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주제를 유권자가 무슨 방법으로 알 수 있을까? 유권자를 탓하기 전에 지역 언론부터 자성의 시간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표-4> 지역 일간지 4사 선거보도 유형 분석

스크린샷 2018-06-12 오전 11.50.32.png

 

특정 후보에 편중된 교육감 보도

지역일간지 4사 선거보도 종류를 보면 대전시장 관련 보도가 가장 많았다는 것을(기타 제외) 알 수 있다. 지난 모니터 기간에 비해 선거보도 종류가 좀 더 다양해진 것 같지만 여전히 문제점은 존재한다. 대전시장 보도의 경우 공약, 후보 비교, 인터뷰 등 다양한 기사가 발행됐지만 시의원 보도의 경우 후보자 약력 정도가 대부분이었다. 교육감 보도 또한 지난 모니터 기간에 비해 그 수가 증가했지만 대부분 설동호 후보에 관련된 것이 많고 설동호 후보의 출마 선언 이후 보도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여 특정 후보에 편중된 보도라고 할 수 있다. 교육 정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게 아닌 특정 후보의 동향에 치우친 보도는 일종의 편파 보도라고도 할 수 있다. 다양한 후보자에 관한 기사를 통해 유권자의 알권리를 존중해야 한다. 

 

<표-5> 지역 일간지 4사 선거보도 종류별 분석

스크린샷 2018-06-12 오전 11.50.40.png

 

군소 정당 후보, 선거 출마 소식에도 단독 보도 부족해

지난 모니터 기간과 마찬가지로 선거보도 대상은 더불어민주당이 제일 많았고 그 다음으로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순으로 이어졌다. 거대 양당과 군소정당간의 보도량 차이가 제일 심한 언론사는 충청투데이였다. 대전일보, 중도일보, 금강일보는 거대 양당과 군소정당(중에서도 그나마 잘 알려진 바른미래당)간의 보도량 차이가 23~26건이었던데 반해 충청투데이는 38건 이상 차이가 났다. 민주평화당의 서진희 대전시장 예비후보는 출마 선언 이후에도 단독 보도가 부족하다. 서진희 후보의 단독보도는 단 두 건으로 충청투데이, 금강일보에서만 보도했다. 정의당의 경우 김윤기 후보가 일찍부터 출마 선언을 하고 토론회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음에도 단독 보도가 부족했다. 그 외에 해당 후보의 정당을 표기하지 않는 문제들도 발견됐다. “오시덕 농촌활력 지원사업 확대 등 공약 발표”(충청투데이), “이춘희 첫 소확행 공약은? "청소예산 두배"(중도일보) 등 교육감 이외의 후보이며 공약까지 발표했는데도 정당을 명시하지 않는 보도가 잦았다. 이는 해당 후보가 현직에 있는 후보여서 유권자들이 이미 후보의 정당을 알고 있으리라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후보의 이름과 공약이 거론될 때는 정당 언급을 명확히 해야 유권자들의 혼란을 줄일 수 있다. 이번 선거에서 공천 이후 탈당하고 당을 옮긴 후보도 여럿이거니와 당의 정치적 스탠스는 유권자들의 표심을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표-6> 지역 일간지 4사 선거보도 대상 분석

스크린샷 2018-06-12 오전 11.50.50.png

 

정책/공약, 후보 비교 보도 사실상 포기

선거보도 주요내용은 4사 모두 후보 동향/선거 이벤트 관련 내용이 가장 많았다. 대전일보 34건, 중도일보 41건, 충청투데이 38건, 금강일보 36건으로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인 정책 및 공약 소개 보도에 비해 두 배 정도 차이나는 보도량이다. 정책/공약 비교가 가장 많은 언론사는 대전일보로 17건이고, 중도일보는 10건, 충청투데이는 2건, 금강일보는 3건으로 조사됐다. 후보 인물 비교의 경우 일간지 4사 모두 0건이다. 후보자와 공약을 비교하는 보도는 유권자들로 하여금 한 눈에 후보와 정당에 관한 평가를 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광역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교육감 등 지방선거 후보와 그 직위가 많기에 유권자들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비교 보도가 필수적인데 지역 일간지는 그러한 보도보다는 후보 개개인의 동향에 집중하고 있다. 정당 이벤트나 후보 동향 보도가 아예 없을 수는 없지만 유권자들에게 정말로 필요한 보도는 공약과 후보 비교 보도로 보인다. 

 

<표-7> 지역 일간지 4사 선거보도 주요내용

스크린샷 2018-06-12 오전 11.51.00.png

 

양대정당간의 네거티브 공방, 상처 받는 소수자

지역일간지 4사 선거보도 유해성은 여전히 경마식보도와 양대정당중심 보도가 제일 많았다. 서울과 달리 지방 선거는 후보자의 정당이 다양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서울시장 선거의 경우 녹색당 신지예 후보를 비롯 9개 정당 후보자가 등록을 마친 상태다. 대전의 경우 대전시장 후보자는 다섯 명으로 거대 양당과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후보가 등록을 마쳤다. 녹색당이나 청년 정당인 우리미래당 후보는 없다. 시장 이외의 도지사나 기초자치 단체장의 경우 선택의 폭이 더욱 좁고 군소정당에서는 후보자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런 상황에서 지역 언론은 더욱더 거대 양당간의 싸움을 부추기고 있다. 사실상 민주당과 한국당 후보들의 설전, 네거티브 공방이 주를 이루는 셈이다. 그 과정에서 생겨나는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도 필터링 없이 언론에 보도된다. “충남지사 선거 '보혁이념 대리전'”(금강일보) 보도에서 충남지사 이인제 후보는 “동성애 자체를 범죄시하고 핍박하는 것은 찬성하지 않지만 동성애를 공식화, 제도화하는 것도 맞지 않다”라며 인권조례폐지를 두둔하고 나섰다. 동성애를 핍박하지는 않겠지만 제도화하는 건 안 된다라는 말은 얼핏 들으면 성소수자와 혐오세력 모두에게 평등한 말처럼 들린다. 하지만 성소수자와 혐오세력간의 위치는 지역 언론이 자유한국당을 가리킬 때 그렇게도 많이 쓰던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표현이 적절하다. 누군가의 인권은 찬반의 문제가 아니다. 언론은 도지사 후보가 사회적인 혐오를 공고히 하는 발언을 했을 때, 후보에게 입장 표명을 부탁하든, 그를 비판하는 사설을 보도하든 소수자를 위한 최소한의 방어막을 마련했어야 한다. 


<표-8> 지역 일간지 4사 선거보도 유해성 분석

스크린샷 2018-06-12 오전 11.51.11.png

 

신문모니터 4차 보고서.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