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광우병 소 발생, 침묵하는 조선일보
등록 2017.07.21 16:33
조회 385

미국에서 5년 만에 광우병 양성 판정 소가 발견되었습니다. 이에 우리 정부는 △국내 수입되는 미국산 쇠고기는 모두 30개월령 미만으로 광우병 감염 위험 부위를 제거하고 수입될 뿐 아니라, △광우병 발견지역에 우리나라로 수출되는 쇠고기 작업장이 없고 △집단 발병 우려가 있는 ‘정형’이 아닌 ‘비정형’ BSE라는 이유를 들어, 국내 광우병 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정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검역 물량을 3%에서 30%로 10배 늘리는 등 검역 강화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단체와 생산자단체․학계․시민단체 등은 일단 수입 중단 조처를 취하고 이번 광우병이 전염성이 없는 비정형 BSE인지 여부와 해당 소의 구체적인 감염 경로 등을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실제 ‘미국산 쇠고기 및 쇠고기 제품 수입위생조건’ 부칙 6조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GATT 제20조 및 WTO SPS 협정에 따라 건강 및 안전상의 위험으로부터 한국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중단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6개 일간지는 이 같은 사실을 어떻게 보도했을까요?

 

 

광우병에 관심 많던 조선, 발생 사실은 이틀 내내 미보도
농림수산식품부의 브리핑 직후인 20일과 21일 양일간 보도량은 한겨레가 4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향신문이 3건, 한국일보와 중앙일보가 2건이었습니다. 이들 매체는 양일간 최소 1건 이상의 관련 보도를 지면에 내놓았습니다. 반면 동아일보는 20일 경제면에만 1건의 보도를 내놓았으며, 21일에는 관련 보도를 내놓지 않았습니다. 이 기간 관련 보도를 1면에 배치한 곳은 한국일보가 유일하며, 사설을 내놓은 것은 한겨레뿐입니다. 

  

 

경향

동아

조선

중앙

한겨레

한국

7/20

1건(20면)

1건(경제4면)

0건

1건(13면)

1건(8면)

1건(1면)

7/21

2건(2면)

0건

0건

1건(경제3면)

3건(경제18면, 사설)

1건(12면)

총 보도량

3면

1건

0건

2건

4건

2건

△ 미 광우병 소 발견 관련 보도량(7/20~7/21) ⓒ민주언론시민연합

 

반면 30개월령 미만 소만을 수입하도록 정부를 압박했던 2012년 촛불 집회 참가자들을 ‘괴담 유포자’라 꾸준히 비난해온 조선일보는 양일 모두 관련 보도를 내놓지 않았습니다. 이 기간 조선일보 지면 속 ‘광우병’이라는 단어는, <이효성, 12억 차익 아파트 투기 의혹에 “운이 좋았다”> 보도에만 등장합니다. 방송통신위원장 인사청문회장에서 박대출 자유한국당 의원의 “광우병 보도를 믿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효성 후보자가 “(이명박 정부 시절 MBC PD수첩의) 광우병 보도가 완전히 허위라곤 말할 수 없다”고 답변한 것을 전달한 것이었지요. 


그렇다면 아예 관련 보도를 쓰지도 않은 것일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온라인상으로는 <美서 5년 만에 광우병 발생…정부, 美쇠고기 현물검사비율 3%에서 30%로 강화>(7/19 권순완 기자 https://goo.gl/Lj7kus)라는 1건의 보도를 송고했습니다. 멀쩡한 기사를 써 놓고도, 지면에는 반영하지 않은 것이지요. 


덧붙여 조선일보가 기사를 홍보하는데 이용하고 있는 자사 계정 페이스북에도 관련 보도는 링크되지 않았습니다. 이 기간 조선일보 페이스북은 ‘입는 우산’이 등장했다는 소식이나 스프레이식 발포체를 헤어 무스 스프레이로 착각한 동유럽 출신 여성의 2년 전 피해 사례, 도끼로 이발하는 브라질 미용사, ‘색감능력 테스트’ 퀴즈 등을 페이스북에 올려 홍보했습니다.  

 

 

정부 주장만 받아쓴 동아․한국
동아일보와 한국일보의 경우 보도가 있기는 하지만, 그야말로 정부의 발표를 그저 받아쓰기만 하는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동아일보의 <美 5년만에 ‘광우병 소’ 발견 농식품부 “검역 강화”>(7/20 최혜령 기자 https://goo.gl/4LDhZt)는 300여자 수준의 아주 ‘작은’ 기사인데요. 농림축산식품부의 “BSE가 발견된 앨라배마주에는 한국으로 수출하는 소를 도축하거나 가공하는 공장이 없다” “국내에 수입될 수 있는 미국산 쇠고기는 30개월 미만의 소이며 도축 과정에서 뼈나 내장 등 특정위험물질(SRM)이 제거된 쇠고기에 한정돼 있다”는 주장을 전달하고 있을 뿐입니다. 


한국일보는 기사량이 동아일보의 2배 이상(720자)이고, 무엇보다 앞서 언급했듯 6개 일간지 중 유일하게 관련 보도를 1면에 배치하기는 했습니다. 그러나 앞 뒤 정황을 조금 더 덧붙여놓았을 뿐, 결국 정부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쓰고 있을 뿐이라는 점에서는 동아일보와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21일 내놓은 관련 보도 1건은 <미국산쇠고기 검역 강화>라는 제목의 사진기사였습니다. 


 
‘정부, 2012년과 대응 다르다’ 언급한 경향․중앙
중앙일보는 20일 정부 브리핑 내용을 전한 <미국 5년 만에 광우병 정부, 수입 검역 강화>(7/20 김혜란․장원석 기자 https://goo.gl/cZAbHH) 기사에 그치지 않고, 그 다음날 일종의 ‘Q&A’ 기사인 <미국 쇠고기, 광우병 발생해도 자동 수입중단 못 해>(7/21 장원석 기자 https://goo.gl/dCuoFn)를 내놓았는데요. 캐나다와 맺은 수입위생조건과 미국과 맺은 수입위생조건을 비교해주거나 미국과의 통상 마찰 문제 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 기사 말미에는 ‘정부․여당이 과거 2012년 당시와는 달리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국민의당 측 비판을 인용해 전하고 있기도 합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의 국제통상위원회의 미국산 쇠고기 잠정 수입 중단 조치 요구를 지면에 보도한 것은 경향신문과 한겨레 뿐입니다. 특히 경향신문은 21일 아예 별도의 기사 <민변 미국산 쇠고기 수입 중단하고 조사>(7/21 윤희일 선임기자․손제민 기자 https://goo.gl/YZpwSt)를 통해 “미국에서 다시 ‘광우병(소해면상뇌증·BSE)’ 걸린 소가 발견되면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 중단 등 보다 강력한 대응책이 나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음을 강조했는데요. 기사 말미에는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 중단은 어렵다”는 이번 정부의 태도가 “2012년 미국에서 광우병 소가 발견됐을 당시 민주당이 보여준 대응과는 판이”하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검역 강화하며 역학조사 결과 지켜보자’는 한겨레
한겨레의 경우 2012년의 대응을 언급하거나 소개하며 정부를 비판하지는 않았습니다. 민변 등의 ‘수입 중단’ 요구 역시 관련 보도를 통해 소개하고 있기는 하나, ‘당장 수입 중단’보다는 ‘철저한 검역’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실제 <사설/미국산 쇠고기 철저한 검역으로 국민 안심시켜야>(7/21 https://goo.gl/C1Qz8M)에서 한겨레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당장 중단할 상황은 아니다. 정부가 철저한 검역으로 국민을 안심시켜야 할 것”이라며 “불필요한 무역 마찰을 빚지 않도록 하면서, 미국 정부의 역학조사 결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문제를 언급한 <현장에서/무역흑자 방어 집착은 최선의 전략 아니다>(7/21 조계완 기자 https://goo.gl/sk6YML)에서는 “공익적 정책수립을 가로막아온 투자자-국가소송제(ISD)를 비롯해 건강권·환경권 등 한-미 에프티에이가 위협·제약해온 한국의 ‘주권 회복’을 당면 협상목표로 내세우는 것이 ‘비즈니스 협상가’ 트럼프에 대처하는 전략일 수 있다”며 “광우병이 드러난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이 같은 전략의 “시작”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17년 7월 20~21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신문 지면에 한함)

monitor_201706721_336.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