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신 업데이트 - 2024.06.05 18:06
  • 로그인

895 왜 시민들은 언론에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을 말하나 ft. 조선일보, [조민씨·연세대 의료원에 사과드립니다]

     137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왜 시민들은 언론에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을 말하나 ft. 조선일보, [조민씨·연세대 의료원에 사과드립니다]]입니다. 

 

지난 5월, 미디어오늘-리서치뷰 정기 여론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중 81%가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에 찬성했습니다. 언론인권센터,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등 시민단체들도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죠. 시민사회가 이렇게 ‘언론에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소리 높이는 이유는 단연, 언론의 책임감 없는 보도 행태, 그로 인한 오보와 피해자 발생때문일 것입니다. 

 

미디어오늘이 2012년~2019년 8년간 언론 관련 손해배상 판결을 언론사별로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 8년간 200여 곳의 국내 언론사가 잘못된 보도로 지불한 손해배상 총액이 62억7088만2632원으로 나타났습니다. 33억원의 배상 판결이 이뤄진 소비자TV 판결을 제외하면 지난 8년간 언론사 손해배상 총액은 29억7000만원, 평균 손해배상액은 946만원 수준이었죠. 또한 미디어오늘이 언론중재위원회 ‘언론판결분석보고서’를 바탕으로 2009년~2018년까지 10년간 언론사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 청구재판 2220건(동일사건 1·2·3심 포함)을 확인한 결과, 언론사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가 승소할 확률은 39.74%(일부 승소 포함)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종합해보자면 언론 보도로 시민들이 피해를 입어도 피해구제가 이뤄지기 어렵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해당 미디어오늘 기사 url: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915)

 

하지만 언론은 이에 대한 자성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조선일보 행태를 보면 더욱 그렇습니다. 조선일보는 8월 28일 [조민,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일방적으로 찾아가 “조국 딸이다, 의사고시 후 여기서 인턴하고 싶다”](박상현‧황지윤 기자)에서 의료계 집단휴진 상황과 함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딸이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피부과를 찾아가 담당 교수를 만났다”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이 기사에선 익명의 취재원만 등장할뿐, 당사자에게 확인을 거쳤다는 내용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죠. 조선일보는 바로 다음날인 8월 29일 해당 기사가 오보임을 인정했습니다. 8월 29일 바로잡습니다 코너에 [바로잡습니다/조민씨‧연세대 의료원에 사과드립니다]를 실었지만 이또한 어줍짢은 핑계 가득한 변명문에 불과했습니다. 더욱이 조선일보는 이번 ‘바로잡습니다’ 어디에도 ‘오보’라고 쓰지 않았고요. 

 

이런 와중에, 최근 기자협회보가 653명 기자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기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 ‘기자들이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 1위로 조선일보가 선정됐습니다. 취재기본조차 지키지 않으면서 악질적 오보를 반복하는 신문사를 기자들은 가장 신뢰하고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오늘 미디어탈곡기에선 최근 조선미디어그룹의 악질적인 오보부터 시민들이 언론에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을 요구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 나눠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데일리 미디어 비평 콘텐츠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팟빵과 팟티에서도 들으실 수 있습니다. 

👉 https://www.podbbang.com/ch/13686

👉 https://www.podty.me/cast/174405

 

💪언론개혁, 시민의 힘으로! 민주언론시민연합 후원은 아래에서 가능합니다. 앞으로도 언론민주화를 위해 우직하게 걷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PC) https://mrmweb.hsit.co.kr/v2/Member/MainInfo.aspx

📱(모바일) https://mrmweb.hsit.co.kr/v2/default.aspx?Server=CvUPdhU7xRsj1D4xW3Aalw==&action=main

 

🙇🏻‍♂️후원 관련 문의사항은 아래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 운영팀  02-392-0181

💌 ccdm1984@hanmail.net

 


908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솜방망이 처벌, 시청자들은 왜 ‘시신이송’ 장면을 마주해야 하는가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솜방망이 처벌, 시청자들은 왜 ‘시신이송’ 장면을 마주해야 하는가]입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심위 #방송사 #솜방망이처벌 #선정적보도 #KBS #SBS #MBC #JTBC #MBN #TV조선 #채널A #YTN 🧑🏻‍🌾미디어탈곡기는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데일리 미디어 비평 콘텐츠입니다. 🎧&lsquo...


소셜공유

907 KBS 제보자들, 종영이 아깝지 않은 이유? 겉은 시사·교양, 속은 선정성에 기댄 황색저널리즘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KBS 제보자들, 종영이 아깝지 않은 이유? 겉은 시사·교양, 속은 선정성에 기댄 황색저널리즘]입니다. #KBS #KBS2TV #시사교양프로그램 #제보자들 #옐로저널리즘 #황색저널리즘 🧑🏻‍🌾미디어탈곡기는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데일리 미디어 비평 콘텐츠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팟빵과 팟티에서도 ...


소셜공유

906 조선일보가 의혹 제기하면 TV조선이 받아쓰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 군 휴가 의혹 / 문제 발언이 많아 월요일도 이어가는 종편 뭐하니?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조선일보가 의혹 제기하면 TV조선이 받아쓰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 군 휴가 의혹 / 문제 발언이 많아 월요일도 이어가는 종편 뭐하니?]입니다. #조선일보 #TV조선 #보도본부핫라인 #이것이정치다 #추미애 #법무부장관 #아들 #군휴가 #특혜휴가 #의혹보도 🧑🏻‍🌾미디어탈곡기는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데일리 미디어 비평...


소셜공유

905#추미애 장관 아들 군 휴가 논란, 문제없다 해도 모르쇠...문제 만들어 내는 종편 시사 대담 프로그램

오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추미애 장관 아들 군 휴가 논란, 문제없다 해도 모르쇠, 문제 만들어 내는 종편 시사 대담 프로그램] 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데일리 미디어 비평 콘텐츠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팟빵과 팟티에서도 들으실 수 있습니다. 👉 https://www.podbbang.com/ch/13686 ...


소셜공유

904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 군 휴가 문제, 곰곰이와 함께 하는 쟁점 총정리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 군 휴가 문제, 곰곰이와 함께 하는 쟁점 총정리 ]입니다. #초대손님 #곰곰이 #민중의소리 #VOP #김동현 #추미애 #법무부장관 #군대휴가 #팩트체크 🧑🏻‍🌾미디어탈곡기는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데일리 미디어 비평 콘텐츠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팟빵과 팟티에서도 들으실 수 ...


소셜공유

903 대법원 ‘전교조 판결’ 진보편향 대법관 탓? 박근혜 정부 임명 대법관 4명 중 3명도 동의했다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대법원 ‘전교조 판결’ 진보편향 대법관 탓? 박근혜 정부 임명 대법관 4명 중 3명도 동의했다]입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9월 3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에게 내려진 ‘법외노조통보’를 취소하여 전교조는 다시 ‘공식적 노동조합’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13년 10월 박근혜 정부가 전교조에게 법외노조통보를 한 지 7년만입니다...


소셜공유

902 첫 사례면 '권고'라는 솜방망이 처벌, 방심위 존재 이유를 물을 수밖에 없다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첫 사례면 '권고'라는 솜방망이 처벌, 방심위 존재 이유를 물을 수밖에 없다]입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9월 9일 방송심의소위원회를 열어 현직 국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 등 선출직 정치인을 진행자로 섭외한 KBS [김경래의 최강시사], CBS [김현정의 뉴스쇼], 채널A [김진의 돌직구쇼]에 행정지도 권고를 결정했습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이 8월 4일 ‘현직 정치인들의 시사프로그램 ...


소셜공유

901 의료계 집단휴진, "사실이라면" 던지고 보는 종편 시사대담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의료계 집단휴진, "사실이라면" 던지고 보는 종편 시사대담]입니다. #MBN #채널A #뉴스와이드 #김진의돌직구쇼 #집단휴진 #진료거부 #저널리즘 🧑🏻‍🌾미디어탈곡기는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데일리 미디어 비평 콘텐츠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팟빵과 팟티에서도 들으실 수 있습니다. 👉 https:/...


소셜공유

900 윤석열과 방상훈의 비밀 회동 풀스토리(ft. 안진걸, 조선 10대 고발 사건을 말하다)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윤석열과 방상훈의 비밀 회동 풀스토리(ft. 안진걸, 조선 10대 고발 사건을 말하다)]입니다.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윤석열 #방상훈 #조선일보 #TV조선 🧑🏻‍🌾미디어탈곡기는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데일리 미디어 비평 콘텐츠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팟빵과 팟티에서도 들으실 수 있습니다. Ǵ...


소셜공유

899 ‘의료계 집단휴진’ 신문보도, 기승전 '정부비판'부터 근거 없는 ‘시민단체 특혜’ 프레임까지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의료계 집단휴진’ 신문보도, 기승전 '정부비판'부터 근거 없는 ‘시민단체 특혜’ 프레임까지]입니다. 9월 4일 더불어민주당과 대한의사협회가 의대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신설추진 관련 법안을 원점에서 재논의한다는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대한의사협회는 합의문 발표와 함께 집단휴진을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보건복지부도 대한의사협회와 합의문 서명식을 진행...


소셜공유

898 종편 시사대담프로그램 양성평등 테스트 결과, 여성 단독 진행자 ‘제로’ 그리고 TV조선 ‘석연찮은’ 자리배치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종편 시사대담프로그램 양성평등 테스트 결과, 여성 단독 진행자 ‘제로’ 그리고 TV조선 ‘석연찮은’ 자리배치]입니다. 9월 1일부터 7일까지는 양성평등주간입니다. 양성평등주간은 ‘남성과 여성의 조화로운 발전을 통해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실질적인 양성평등사회 실현을 촉진하기 위해 규정한 기념주간’으로 양성평등기본법 제38조에 따라 시행되...


소셜공유

897 마스크 허위통계 인용부터 출연자의 허위발언들까지 모아 본 TV조선 "이것이 정치다"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마스크 허위통계 인용부터 출연자의 허위발언들까지 모아 본 TV조선 "이것이 정치다"]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데일리 미디어 비평 콘텐츠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팟빵과 팟티에서도 들으실 수 있습니다. 👉 https://www.podbbang.com/ch/13686 👉 https://...


소셜공유

896 방역엔 ‘뒷전’인 언론의 코로나19 보도, ‘뚫린’건 감염병보도준칙이었다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방역엔 ‘뒷전’인 언론의 코로나19 보도, ‘뚫린’건 감염병보도준칙이었다]입니다. 코로나19 재확산 속도가 빨라지면서 감염병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대응책 마련을 위해 여론을 수렴해야 하는 언론의 역할도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언론에서는 여전히 ‘감염병보도준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오히려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소셜공유

895 왜 시민들은 언론에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을 말하나 ft. 조선일보, [조민씨·연세대 의료원에 사과드립니다]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왜 시민들은 언론에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을 말하나 ft. 조선일보, [조민씨·연세대 의료원에 사과드립니다]]입니다. 지난 5월, 미디어오늘-리서치뷰 정기 여론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중 81%가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에 찬성했습니다. 언론인권센터,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등 시민단체들도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죠. 시민사회가 이렇...


소셜공유

894코로나19 재확산, 종편은 필요한 정보를 전달했을까(ft.보도본부 핫라인)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코로나19 재확산, 종편은 필요한 정보를 전달했을까(ft.보도본부 핫라인)]입니다. 8월 14일 이후 코로나19 국내 일일 확진자 수가 세 자리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수도권을 시작으로 코로나19 감염 재확산이 이뤄지자 자연스레 언론보도도 집중됐습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은 8월 1주차부터 3주차까지 코로나19 재확산을 다룬 종편3사의 6개 시사대담 프로그램을 모니터해 방역에 필요한 대담이 진행됐는...


소셜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