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신 업데이트 - 2024.06.21 15:06
  • 로그인

방송계 노동 문제1️⃣/죽어서 인정받은 '프리랜서' 비정규직 PD의 노동자성(CJB청주방송 고 이재학PD)

     92

부당해고, 채용성차별, 갑질 등 노동권에 반하는 방송계의 악습이 근절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 문제들은 모두 비정규직 문제에 기인합니다. 제작하는 프로그램이나 콘텐츠에 따라 다양한 인력이 필요하고, 각종 개편으로 한 해에도 제작 일정이 유동적인 업계 특성을 핑계로, 방송계에는 오래 전부터 비정규직이 만연했습니다. 결국 많은 방송노동자들이 목숨을 잃은 이후에야 방송계 노동 문제가 공론화되기 시작했습니다. 2016년 CJ E&M 소속 이한빛PD는 하루 20시간의 고된 노동과 더불어 ‘비정규직 해고 및 계약금 환수 업무’를 강제한 사측의 갑질에 괴로워하며 안타까운 선택을 했습니다. 2017년에는 EBS 다큐프라임의 박환성‧김광일PD가 사고로 목숨을 잃으면서 외주제작의 참담한 현실이 알려졌습니다. 2018년 상반기에는 ‘상품권 페이’라는 믿기지 않는 관행이 드러났습니다.

 

해마다 동료를 잃었지만 방송계의 근본적 변화는 요원합니다. 지난 2월 4일, 충북 민영방송사 CJB청주방송에서 14년 간 일했던 이재학PD가 사측의 부당해고에 맞서다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청주방송이 고 이재학PD를 해고한 이유는 월 120~160만 원에 불과한 비정규직 인건비의 인상을 요구했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끊임없이 노동권을 짓밟고 생명까지 위협하는 행태를 과연 방송사들은 보도하고 있을까요? 고 이재학PD 사태를 비롯, 최근 불거진 방송계 폐단과 관련된 보도를 살펴본 결과, 철저한 침묵만이 확인됐습니다. 방송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노동권을 보호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민언련 방송 모니터 보고서 '방송계 치부에 침묵한 방송사들, 보도해야 변화한다' 중


879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 제대로 하는 겁니까 / ‘박원순 시장 사망보도’ 방송심의 35건 접수 / 현직 정치인들의 시사프로그램 진행은 위법이다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 제대로 하는 겁니까 / ‘박원순 시장 사망보도’ 방송심의 35건 접수 / 현직 정치인들의 시사프로그램 진행은 위법이다]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의 데일리 미디어 비평 콘텐츠입니다. 🎧‘미디어탈곡기'는 팟빵과 팟티에서도 들으실 수 있습니...


소셜공유

878 부당거래 강요하는 조선일보 갑질 신고합니다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부당거래 강요하는 조선일보 갑질 신고합니다]입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은 7월 28일 오후, 조선일보 갑질 사건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습니다. 조선일보가 방상훈 대표이사를 비롯한 사주 일가 이익을 위해 관계사 조선아이에스(조선IS)에 부당거래를 강요하고 이에 불응하는 임직원에 퇴사를 강요해왔기 때문인데요. 이번 신고는 조선일보의 전단광고 대행사인 조선IS 전직 임원인 A씨의 내부 고발...


소셜공유

877 언론의 잘못된 관행 감싸주지 좀 마세요! / 추미애 · 김현미 ‘씹느라’ 호프집 안주가 안 팔린다뇨?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언론의 잘못된 관행 감싸주지 좀 마세요! / 추미애 · 김현미 ‘씹느라’ 호프집 안주가 안 팔린다뇨?]입니다. 박진솔 활동가와 함께 하는 금요일 고정 코너 [불금엔 종편 뭐하니?]입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무공천 원칙과 공천에 대한 발언을 왜곡해 한 쪽 이야기만 전한 언론 관행을 감싸준 종편 패널 발언부터 색깔론에 맞서는 역색깔론이란 주장, "추미애 · 김현미 &lsqu...


소셜공유

876 조선일보 ‘도둑취재’로 드러난 언론계 침묵 카르텔, 하루 이틀 일 아니다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조선일보 ‘도둑취재’로 드러난 언론계 침묵 카르텔, 하루 이틀 일 아니다]입니다. 조선일보 정 아무개 기자가 7월 17일 서울시청 여성가족정책실장 집무실에 무단 침입한 것이 발각돼 서울시로부터 고발당했습니다. 정 기자는 외부 통로로 시청 건물에 몰래 들어가 여성가족정책실장 책상 위에 있는 문서 등을 촬영하다 시청 직원에게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죠. 이 같은 ‘도둑취재&rsq...


소셜공유

875 청주방송 故 이재학PD 사망 171일만에 합의 타결, 남은 언론계 과제는?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청주방송 故 이재학 PD 사망 171일 만에 합의 타결, 남은 언론계 과제는?]입니다. CJB 청주방송과 부당해고로 다투다 숨진 고 이재학 PD가 임직원 추모를 받으면서 정규직 PD로 명예복직했습니다. 그의 사망 176일 만입니다. 하지만 이것으로 끝이 아닙니다. 진상조사위원회의 이행요구안을 청주방송이 약 3년여의 기간 동안 충실히 따르는지 앞으로도 꾸준한 감시가 필요한데요. 오늘은 이재학 PD 살아...


소셜공유

874 검언유착 실체 이대로 가려지는가...검찰 수사심의위 "한동훈 수사 중단·불기소 권고"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검언유착 실체 이대로 가려지는가...검찰 수사심의위 "한동훈 수사 중단·불기소 권고"]입니다. 7월 24일 금요일 대검찰청 검찰수사심의위원회가 ‘이동재 전 채널A 기자는 계속 수사·기소하고 한동훈 검사장은 수사 중단·불기소하라’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이동재 전 기자 구속영장을 발부하면서 법원이 “피의자가 검찰 고위직과 연결하여 피해자를 협박하려 했...


소셜공유

873 박원순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 "내가 아는데" / 7‧10 부동산대책, '세금폭탄' 부각하고 '위장이혼' 걱정해주는 종편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박원순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 "내가 아는데" / 7‧10 부동산대책, '세금폭탄' 부각하고 '위장이혼' 걱정해주는 종편]입니다. 박진솔 활동가와 함께 하는 금요일 고정 코너 [불금엔 종편 뭐하니?]입니다. 이번 주에 다뤄 볼 주제는 (1) 박원순 서울시장 죽음 두고 여전히 근거없는 추측 보도 중인 종편 (2) 7‧10 부동산대책이 '가족해체' 부른다며 극단적인 보도를 이용해 본질 ...


소셜공유

872 조선일보 [바로잡습니다] 민언련이 "바로잡았습니다"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조선일보 [바로잡습니다] 민언련이 "바로잡았습니다"]입니다. 지난 6월 17일 조선일보는 ‘바로잡습니다’에서 [권력이 된 시민단체] 시리즈 기사 중 민언련 부분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민언련이 2019년 여성가족부로부터 사업보조금 1800만원을 받아 ‘종편 시사토크쇼 모니터링’ 사업을 진행하면서”라고 썼는데요. 하지만 ‘바로잡습니다’마저 사실과 ...


소셜공유

#조국 단독 기사의 절반은 검찰이 썼다 / 당시 검찰발 단독보도 채널A 1위, 이동재 기자는?채널A 1위, 이동재 기자는?

민언련이 2019년 9월 18일과 10월 1일 각각 발표한 "조국에 대해 언론은 무엇을 단독 보도했나", "조국 단독기사의 절반은 검찰이 썼다"가 모니터 보고서가 있습니다. 최근 두 번째 보고서가 많이 인용되고 있는데요. 특히 검찰발 단독기사에서 압도적으로 채널A가 많이 보도한 것으로 분석된 결과가 이동재 기자 구속과 함께 다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고서 사실과 다른 내용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이 지점을 말씀드립...


소셜공유

871 박원순 서울시장 사망 직후 벌어지고 있는 '엉망진창' 신문 방송 종편 보도 총정리

오늘의 미디어 비평 주제는 [박원순 서울시장 사망 직후 벌어지고 있는 '엉망진창' 신문 방송 종편 보도 총정리]입니다. 7월 9일 오후 박원순 서울시장이 실종됐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10일 자정 성북구 북악산 성곽길 인근에서 박 시장의 시신이 발견됐습니다. 실종 당일 일부 언론을 통해 서울시 공무원이 8일 박 시장을 성추행 혐의로 고소한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현직 서울시장의 갑작스런 사망과 함께 성추행 고소 사...


소셜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