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포커스_
언론의 타락과 저널리즘의 추락, 사회적 해법이 필요하다
등록 2018.02.01 14:03
조회 94
 

[언론포커스] 언론의 타락과 저널리즘의 추락, 사회적 해법이 필요하다
자본과 언론의 오래된 유착 … 길들여진 맹수와 무너진 신뢰 비즈니스 -
이정환 / 미디어오늘 대표

문화일보가 2016년 5월 20일 내보낸 “국방부 군인 가족 복지 향상 박차, 내집 마련 꿈 지원·자녀 학습 캠프”라는 제목의 기사. 미디어오늘이 확인한 결과, 이 기사는 국방부가 발주한 1200만 원짜리 협찬 기사였다. 2016년 6월 28일 서울경제에 실린 “원격진료 확대… 응급환자 신고 앱 ‘군 입대 자녀 건강 이상무’”라는 제목의 기사 역시 1200만 원짜리 정부 발주 상품이었다. 나름 충실하게 정보를 담고 있는 기사지만 독자들은 이게 돈을 받고 쓴 기사라는 걸 모른다.

정부가 돈을 주고 기사를 사는 관행은 이명박 정부 들어 부쩍 늘어났다. 미디어오늘 취재 결과 고용노동부는 홍보 대행 용역에 2010년 49억 원을 쏟아부은 걸 비롯해 해마다 수십억 원을 지출했다. 2014년에는 61억 원, 2015년에도 51억 원이 집행됐다(미디어오늘 <돈 받고 정부 홍보기사 써준 언론사를 공개합니다> 2015.9.9.). 이 가운데 상당 금액이 언론사로 흘러 들어간 정황이 확인됐다. 2014년 12월 8일과 10일 중앙일보에 실린 “정년 65세 일본, 호봉제 버리자 구조조정 줄었다”는 등의 기사 2건에는 5500만 원이 집행됐다.

동아일보는 2014년 4월부터 12월까지 ‘일가양득’이라는 캠페인 시리즈 기사를 내보내고 2억3550만 원을 받았다. 방송에도 이른바 협찬 기사가 등장했다. 2014년 12월 31일 SBS 모닝와이드는 조기 퇴직한 중장년층이 아르바이트시장으로 대거 유입되고 있다면서 임금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는 식의 리포트를 내보냈는데 여기에 1320만 원의 세금이 투입됐다. 국방부와 고용노동부뿐만 아니라 보건복지부도 돈을 주고 기사를 산 것으로 확인됐다.

물론 정부도 홍보가 필요하고 공익적인 성격의 기사인데 뭐가 문제냐고 묻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돈을 받고 쓴 기사라는 사실을 독자들에게 알리지 않는 건 독자들을 모욕하고 기만하는 행위다. 독자들은 기자가 기사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직접 취재해서 쓴 기사라고 생각할 것이다. 대부분의 언론사들이 광고 없이는 생존이 불가능한 게 현실이지만 이건 아예 광고와 지면의 경계를 뭉개고 저널리즘의 근간을 몇 푼 돈에 팔아넘기는 행위다.
 
언론포커스는?
<언론포커스>는 언론계 이슈에 대한 현실진단과 언론 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해보는 글입니다. 언론 관련 이슈를 통해 시민들과 소통하고 토론할 목적으로 민주언론시민연합이 마련한 기명 칼럼으로, 민언련 공식 견해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편집자주
 
(04207) 서울 마포구 마포대로 14가길 10, (공덕동 동아빌딩 4층) 
전화 02-392-0181 / 전송 02-392-3722 / 이메일 ccdm1984@hanmail.net 
후원계좌 신한은행 100-019-186241
Copyright © 민주언론시민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