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9월 15일자 주요 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2010.9.15)
등록 2013.09.24 13:06
조회 275
 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 오늘의 브리핑
1. ‘명품녀’ 보도 … 종편 다투는 조중동의 ‘신경전’
2. 여, ‘친서민’ 놓고 갈등…<한겨레> “특위 만들고 흐지부지, 전례 없어”
 
 
 
‘명품녀’ 보도 … 종편 다투는 조중동의 ‘신경전’
 
 

1. ‘명품녀’ 보도 … 종편 다투는 조중동의 ‘신경전’
이번엔 <중앙>이 엠넷 주장 부각
<조선><동아> “방송사 책임 커”
 
지난 7일 방영된 케이블채널 Mnet <텐트 인 더 시티>의 이른바 ‘4억 명품녀’ 방송에 대한 진실 공방이 뜨거운 가운데, ‘종편 진출 경쟁자’인 조중동이 관련 보도에서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14일 조선일보가 ‘Mnet 방송이 조작됐다’는 명품녀 김 씨의 주장을 1면 등에 크게 부각해 싣자, 15일에는 중앙일보가 Mnet 측의 주장을 부각하고 나섰다.
Mnet은 CJ미디어의 계열사며, CJ는 중앙일보의 2대 주주이다. 조중동은 현재 종합편성채널 사업 신청을 해놓은 상태다.
 
 
<엠넷 “명품녀, 차 포함 오늘 하고 온 것 10억어치라 말해”>(중앙, 16면)
 
중앙일보는 16면에서 “인터뷰 내용은 거짓말”이라며 “김 씨가 오히려 방송이 과장이었다고 말해달라고 부탁했다”는 엠넷 측의 주장을 부각해 실었다.
그러면서 “방송 조작 여부와 관계없이 김 씨는 애초 제기됐던 불법증여 및 탈세 의혹에서 벗어나기는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 중앙일보 16면 기사
 
 
 
 
<“4억 명품녀 거짓 사실 내보낸 것은 조작이든 허풍이든 방송사 책임 커”>(조선, 10면)
<“명품녀라는 김씨, 17평 연립 세들어 살아”>(조선, 10면)
<‘4억 명품녀’ 속에 우글대는 TV와 인간의 얼굴>(조선, 사설)
 
조선일보는 14일 ‘방송이 조작됐다’는 김 씨의 단독인터뷰 기사에 이어 15일 10면 기사에서 방통심의위의 심의 내용과 양측의 공방을 다루면서 “설사 김씨가 과장을 했다고 해도 이를 검증하지 못한 채 방송을 내보낸 m.net 제작진의 책임이 크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을 부각했다.
 
사설에서는 “이 사건의 등장인물들은 정색하고 상실감과 박탈감이란 거창한 용어를 꺼내들 대상이라기보다 우리 사회의 어느 구석 어느 모서리가 썩어 문드러져 닳아져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환부”라고 지적했다.
이어 “‘4억 명품녀’ 소동을 일으킨 프로그램 제작진은 최소한 공중(公衆)이 지켜보는 내용을 사전 검증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면서 “케이블 TV 채널들이 많아지면서 TV들은 최악(最惡) 최저(最低) 인물들을 끌어몰아 오로지 시청률 끌어올리기에만 파묻혀 왔다”, “‘조작․허위 방송’ 혐의도 끊이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작가가 1억→3억→4억 값올려” “1억도 명품인데 그럴 이유 있나”>(동아, 16면)
 
동아일보는 16면에서 ‘명품녀’와 엠넷 제작진과의 공방을 다룬 뒤 “양측의 진실 공방과 관계없이 방송사가 시청률에 집착해 선정적인 주제를 다루거나 출연자를 적절한 검증 없이 섭외하는 제작 관행은 또다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4억 명품녀’ 진실 공방 갈수록 가관>(경향, 12면)
 
경향신문은 12면에서 김 씨와 Mnet 측의 공방을 다룬 뒤 “일시적 해프닝으로 마무리 될 것으로 예상됐던 ‘명품녀’ 파문은 이후 탈세 의혹, 방송조작 의혹, 사기공방 등 후폭풍을 일으키며 확산됐다”면서 “정치권까지 가세해 김 씨 부모에 대한 세무조사를 요구했고, 국체청도 사실 확인 후 엄정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고 전했다.
 
 
<MC몽·신정환 결국 방송 제재…명품녀 진실공방>(한겨레, 21면)
 
한겨레신문도 21면에서 ‘명품녀’와 엠넷의 진실 공방을 간단하게 다뤘다.
 
 

2. 여, ‘친서민’ 놓고 갈등…<한겨레> “특위 만들고 흐지부지, 전례 없어”
<경향> 한나라당 ‘시장 만능’ 지적
 
이명박 정부가 ‘공정사회’와 함께 후반기 주요 국정지표로 제시한 ‘친서민’ 정책이 알맹이 없는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한나라당 서민정책특별위원회가 10일 △대학등록금 인상내역 공개 △택시의 버스전용차로 이용 △납품단가 연동제도 단계적 도입 등을 중점 추진과제로 선정, 발표하자 김무성 원내대표는 “아무리 좋은 안이라도 일방적 결정을 해서는 안된다”면서 당 정책위와의 사전 논의를 강조했고, 당 정책위는 아예 “반 시장적” “포퓰리즘”이라고 비난했다.
그러자 당 서민정책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홍준표 최고위원은 1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정 사회’와 서민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가가 적정한 소득분배를 유지하고 경제민주화를 위해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며 경제적 평등과 이를 위한 국가의 개입을 규정한 헌법 119조 2항을 근거로 들었다. 그러면서 “자유시장론을 들어 서민정책을 반대하는 것은 난센스”라고 반박했다.
 
15일 한겨레신문은 “집권당이 특위를 만들었다가 이런 식으로 흐지부지하는 경우는 전례가 드물다”면서 “친서민을 표방한 취지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이고 집권당의 일처리 방식과 수준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게 만든다”고 비판했다. 경향신문은 한나라당의 ‘시장 만능’을 지적하며, 복지 정책에 대한 고민을 주문했다.
동아일보는 한나라당이 ‘근본적인 철학과 가치․노선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우려했다.
조선․중앙일보는 이에 대한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 
 
 
<물가·총리·서민대책… 여권 ‘추석 3災’>(경향, 8면)
<서민정책, 자유 시장 도그마 벗어야 성공한다>(경향, 사설)
 
경향신문은 8면에서 여권의 악재로 물가 급등과 총리인선, 서민대책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여권이 강조해온 ‘친서민’은 가시적 결과가 없는 덫에 걸려 있다”며 “오히려 ‘서민’ 정책을 놓고 내부 파열음만 커지는 모습”이라며 당 서민특위의 정책을 둘러싼 내부 갈등을 전했다.
 
사설에서는 한나라당 서민정책특별위원회에 대한 당내 분위기를 전하며 “‘서민정책’이 당 정책으로 승인받기 위해서는 시장주의라는 관문을 통과해야 할 것만 같다”, “시장은 만능이 아니라는 사실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많은 경우 시장은 해결책이 아니라 문제”라며 “시장이 인간의 삶에 봉사하도록 해야지, 인간이 시장에 봉사하도록 해서는 안된다”고 주문했다.
이어 “시장의 실패를 예방하지 않으면 보수의 가치도 지킬 수 없다는 엄정한 현실을 직시하고, 복지 정책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면서 “한나라당이 진정 공정한 사회를 향해 나아가고자 한다면 시장이라는 동굴의 우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딴 길로 새는 한나라당의 ‘공정사회’ 논의>(한겨레, 사설)
 
한겨레신문은 사설에서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와 안상수 대표의 ‘공정사회’ 발언을 두고  “두 사람 다 경제 활력을 거론하며 공정사회 논의에서 속도와 내용을 조절할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읽힌다”면서 “공정사회를 위해 아무런 정책도 추진해보지 않고 속도조절부터 거론하는 것은 무슨 까닭인지 알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당내 서민정책특별위원회 활동을 둘러싼 ‘포퓰리즘 논쟁’도 이해되지 않는다”, “집권당이 특위를 만들었다가 이런 식으로 흐지부지하는 경우는 전례가 드물다”면서 “친서민을 표방한 취지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이고 집권당의 일처리 방식과 수준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게 만든다”고 비판했다.
이어 “한나라당이 어제 친서민․공정사회 관련 정책이라며 확정한 40개 법률 개정안도 마찬가지”라며 “대통령이 나서서 공정사회론을 집권 후반기 국정 화두로 제기한 것에 걸맞은 정책은 눈에 띄지 않는다”며 “이미 정기국회에서 추진할 법안들에 ‘친서민, 공정사회’라는 모자만 씌워 시늉을 한다는 인상이 짙다”고 꼬집었다.
 
 
 

▲ 한겨레 사설
 
 
 
 
<與, 친서민정책 갈등 ‘헌법 논쟁’으로>(동아, 5면)
 
동아일보는 5면에서 “친(親)서민정책의 구체적 추진 방향을 놓고 한나라당 내에서 견해차가 뚜렷이 드러나고 있다”면서 “단순히 개별정책에 대한 이견의 차원이 아니라 근본적인 철학과 가치․노선의 차이에 따른 당의 정체성 문제”가 담겨있다고 전했다.<끝>
 
 

 

2010년 9월 15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